選手主体のスタイルで, 「良い顔 」で躍動誓い
( 선수 중심의 스타일로, 밝은 표정으로 역동적인 활약을 다짐하다)

 

1. 일반 정보

 감독: 요시다 코지 (吉田洸二

 부훈: 단 한 번의 기회와 찰나의 순간에도 온 힘을 다해 몰입한다 ( 一機一瞬 入魂 )

 야구부원: 63명

   - 3학년 28명

   - 2학년 35명

 야구부 모토: 우리들이 도전자 (俺たちはチャレンジャー)

 통산 성적 (봄·여름 종합)

학교 창립 야구부 창립 첫출전 준우승 횟수 우승 횟수 통산 성적
1956년 1957년 1995년 0 1 (2023 센바츠) 12승 15패

 

신규팀 시합 성적: 51전 39승 10패 2무 (2024년 7월 이후)

○ 센바츠 출전 멤버 (20명)

이름 학년 키 / 몸무게 포지션 존경하는 인물 장래희망
코모다 하루키 3 194 / 97 투수 (우투우타) 프로야구 선수
요코야마 유 3 178 / 75 포수 (우투우타) 부모님 프로야구 선수
미야가와 마사토 3 173 / 75 1루수 (우투좌타) 오카하라 료가 야구 관련 일
히라노 타카토 3 174 / 74 2루수 (우투우타) 혼다 케이스케 소방관
우메무라 단 (주장) 3 180 / 81 3루수 (우투우타) 야구선수
만바 쇼타 3 172 / 75 유격수 (우투우타) 마쓰이 가즈오 프로야구 선수
나루미 유즈키 3 175 / 77 좌익수 (우투좌타) 이쿠시마 코지 프로야구 선수
타무라 소지로 3 170 / 75 중견수 (우투우타) 이쿠시마 코지 야구선수
오자와 류지 3 174 / 72 우익수 (좌투좌타) 아버지 프로야구 선수
오토모 리쿠 3 173 / 76 투수 (우투우타) 스즈키 루이 프로야구 선수
반도 케이쥬 3 178 / 68 투수 (우투우타) 하야시 켄고 야구 관련 일
카와모토 키이치 3 174 / 80 포수 (우투우타) 오타니 쇼헤이 안정된 수입
후지타 소우 2 178 / 71 투수 (우투우타) 야마모토 요시노부 프로야구 선수
아다치 코스케 3 178 / 80 투수 (우투좌타) 구로다 히로키 영원한 야구선수
카토 유우 3 170 / 75 투수 (좌투좌타) 부모님 행복하게 사는 것
스기무라 타카토 2 165 / 70 외야수 (우투좌타) 모리 토모야 프로야구 선수
타카하시 에이토 3 177 / 80 외야수 (우투우타) 월트 디즈니 행복한 가정 갖기
쓰시마 하루토 3 177 / 74 투수 (좌투좌타) Mr.Children 스포츠 관련 일
타케시타 쇼타 2 176 / 78 투수 (우투우타) 타케다 쇼타 프로야구 선수
오시이 쿄요 3 173 / 78 내야수 (우투좌타) 경찰관

 

2. 전력 분석

※ 종합 평가 ()

역시 믿을 수 있는 것은 전국 무대 경험이다. 요시다 코지 감독은 "최근 들어 작년 고시엔에서 주전이었던 선수들이 방망이를 잘 휘두르기 시작했다"며, 그들의 성장한 모습에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이번 겨울에는 각 선수들의 '스케일감'을 크게 하는 것을 과제로 투수는 구속, 타자는 비거리를 올리는 것을 하나의 기준으로 삼아서 훈련해왔다. 최고 구속 146km를 던지는 우완 코모다 하루키는 입학할 때와 비교하여 구속이 10km 상승. 야수진도 파워가 늘어나 스윙력이 현격하게 향상되었다. 다만, 요시다 코지 감독은 자만하지 않는다. 2023년 센바츠에서 전국 제패를 한 선배들처럼 「우리들이 도전자」라는 슬로건으로 다시 센바츠를 노린다. 


 

① 투수력 (★)

등번호 1번을 짊어지는 것이 뚜렷한 코모다 하루키(菰田陽生, 3학년)는 194cm의 장신에서 나오는 힘을 바탕으로 본인 최고 구속 146km/h를 내던지는 우완 에이스다. 자신의 첫 전국무대인 센바츠에서 「던질 수 있는 고마움을 느끼며 활약하고 싶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입학한 후 키가 4cm 더 자란 치바현 출신이지만, 중학교 3학년때는 오른쪽 팔꿈치가 골절된 영향으로 본격적인 투구를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이었다. 그럼에도 가을 간토 대회 첫 경기에서는 자신의 최고 속도인 146km/h를 기록하는 등 높은 포텐셜을 보여주었다. 

작년 가을 공식전은 후지타 소우(藤田蒼海 2학년), 츠시마 하루토(津島悠翔, 2학년), 카토 유우(加藤優空, 3학년), 오토모 리쿠(大友 陸, 3학년) 등 7명의 투수가 등판하였다. 작년 센바츠에 선발로 등판한 좌완 츠시마 하루토가 가을에 부진했던 가운데, 당시 1학년이었던 후지타 소우가 7경기 중 5경기에 선발로 등판하였다.  요시다 코지 감독은 「특정 투수가 주축이기 보다는 적재적소에서 투수를 투입하여 경기를 전개하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벤치 멤버를 포함한 선수들을 마지막까지 지켜본 후, 최종적으로 6명 정도로 줄일 예정이다는 계획이다.

왼쪽부터 코모다 하루키, 후지타 소우

 

② 공격력 (★)

작년 가을 공식전 팀평균 타율은 0.308. 요코야마 유(横山 悠, 3학년), 히라노 타카토(平野天斗, 3학년), 우메무라 단(梅村 団, 3학년), 만바 쇼타(萬場翔太, 3학년)는 작년 센바츠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경험을 쌓았다. 거기에다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3번을 책임지고 있는 미야가와 마사토(宮川真聖, 3학년)가 있다. 추계 야마나시현 대회 준결승에서 2안타 2타점, 테이쿄 고교와의 결승에서는 3안타 3타점으로 팀의 우승에 공헌하였다. 가을 공식전 7경기에서 26타수 12안타 타율 0.462 8타점으로 팀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요시다 코지 감독은 「타격력은 작년 봄보다 훨씬 준비되어 있다. 외야수의 타격력은 감소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모든 포지션에서의 타격 능력은 향상되었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작년 가을 공식전의 스타팅 멤버와는 대폭적인 변경은 없을 것이라 하지만 타순에 관해서는 큰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시사했다. 자체 홍백전, 센바츠의 실전을 거쳐 신전력이 대두하면 여름의 고시엔에서도 실력이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 본다. 

왼쪽부터 요코야마 유, 우메무라 단

 

③ 수비력 (★)

작년 가을 간토 대회에서는 2경기에서 6개 실책을 범했지만, 야마나시현 대회에서는 5경기에서 무실책으로 촘촘한 수비력을 보여줬다. 작년 여름까지 1루수였던 주장 우메무라 단은 새로운 팀에서는 3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하였다. 1루와는 다르게 타구의 강도가 높아져 손이 많이 가는 부분이 있었다고 말하지만, 수비 훈련을 거듭해 안정감을 높였다. 히라노 타카토와 만바 쇼타와의 콤비도 빈틈을 보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올해 봄 요코야마 유를 1루수에서 포수로, 우익수 미야가와 미사토를 1루수로 전환하며 수비를 강화하였다. 각 선수가 주어진 포지션에서 개성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야마나시 가쿠엔 고교의 강점이다. 「수비는 별로 걱정하지 않다」 고 요시다 코지 감독은 자신감을 보인다. 

 

3. 주목 플레이어 (Close Up Key Player)

★ 요코야마 유 (横山 悠 , 포수)

 

작년 센바츠에서 부채의 중심처럼 팀의 핵심으로 8강 진출에 공헌한 요코야마 유가, 다시 포수 미트를 집었다. 가을 대회에서는 어깨가 강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는 가와모토가 주전 포수였고 요코야마 유는 1루수 및 4번 타자로 타격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간토 대회 8강전에서는 카와모토와 요코야마 모두 수비에서 실책을 범하며, 승리하면 센바츠 출전이 확정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패배하여 기회를 놓쳤다. 간토 대회 이후 요시다 코지 감독은 「선발로 포수 경험늘 살려 하급생의 투수력을 이끌어 내달라」고 요코야마에게 요구하였다. 요코야마도 자신도 어렸을때부터 줄곧 포수였기에 포수로 승부하고 싶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1루수 경험은 요코야마에게 포지션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된 교훈이었다. 포수로 다시 뛰며 투구 배합에 새로운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센바츠는 관객이 많아도, 자신의 모습 그대로 있는 것이 중요하다. 흔들림을 만들지 않고 냉정하게 리드하고 싶다」고 말한다. 요코야마 유가 활약하는 모습이 선명하게 기대된다. 

 

4. 2024년 주요 대회 성적 

대회 전적 시합수 ERA 타율 수비율 안타 탈삼진 실점
2024년 추계 간토 대회   2 2.84 0.284 0.928 19 16 10
2024년 추계 야마나시현 대회 우승 2 1.00 0.276 1.000 16 15 2

 

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이하 센바츠)의 쉬운 이해를 위한 특집편을 정리해보았다. 특집 2탄에서는 9개 지구 및 47개 도도부현의 통산 성적(승리 및 패전 횟수, 승률, 우승 및 준우승 횟수)을 그림과 표로 분석하였다. 

 

* 분석 시점: 2024년 9월 (교통사고로 인해 늦게 포스팅)

* 분석 대상: 9개 지구 및 47개 도도부현

* 분석 내용: 

  - 9개 지별 승리 횟수 

  - 47개 도도부현별 승리/패전 횟수, 승률, 우승 및 준우승 횟수 

* 분석 시기: 1924년 제1회 대회부터 2024년 제96회 대회까지

 


 

1. 지역 및 지방별 통산 성적

 

 

① 홋카이도 지구(통산 46승 88패, 0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홋카이도

 고시엔에서의 성적과 동일하게 전국 9개 지구에서 가장 낮은 승률과 최저 승리를 기록 중에 있다. 고시엔을 2년 연속 우승한 토마코마이 고교도 센바츠에서는 활약을 보이지 못하였다. 도카이대 부속 삿포로 고교와 홋카이 고교가 준우승을 기록한 것이 홋카이도 지방의 최고 성적이다. 

 

② 도호쿠 지구(통산 100승 145패, 0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미야기현,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키타현, 후쿠시마현, 야마가타현

 미야기현만이 유일하게 26위에 랭크되어 있을 뿐, 나머지 5개 도도부현은 40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도호쿠 지구에서 센바츠에 출전 가능한 학교 수는 단 2개라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본선에서의 활약은 아쉬움에 그치고 있다. 아오모리현, 미야기현, 이와테현에서 결승까지 진출하였지만, 준우승에 머물며 '자감의 대우승기(紫紺の大優勝旗)'를 2024년 지금까지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③ 도쿄 · 간토 지구(통산 100승 145패, 0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도쿄도, 카나가와현, 치바현, 사이타마현, 토치기현, 군마현, 야마나시현, 이바라키현

 치바현은 통산 4회 센바츠 결승에 진출하였지만 우승을 한번도 하지 못하며 콩라인에 머물고 있다. 반면에, 나머지 7개 도도부현은 최소 1회 이상의 우승을 경험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카나가와현은 통산 7회 우승이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어 오사카부, 아이치현 등과 함게 최다 우승 9위에 올라있다. 

 

④ 호쿠신에츠 지구(통산 95승 140패, 2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후쿠이현, 니가타현, 이시카와현, 나가노현, 도야마현

 주부 지방의 북쪽은 호쿠리쿠 지역과 고신에츠 지역으로, 호쿠신에츠 지구로 구분되어 있다. 홋카이도 지구를 제외하고는 전국 9개 지구에서 최저 승률을 기록 중에 있다. 후쿠이현과 나가노현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하였을 뿐이다. 니가타현은 센바츠에 출전하여 (21세기 전형 포함) 하여 단 3승만 거두며 47개 도도부현 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이웃하고 있는 도야마현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단 6승만 거두었을 뿐이다. 

 

⑤ 도카이 지구(통산 327승 265패, 19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아이치현, 시즈오카현, 미에현, 기후현

 주부 지방의 남쪽은 도카이 지역으로  호쿠리쿠 지역과 고신에츠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경제적인 발전이 이뤄진, 실질적인 주부 지방을 통틀어서 말하는 곳이다. 아이치현이 통산 승리 176승을 거두었고 우승도 11회를 기록하며 도카이 지구를 리드하고 있다. 이곳에 소속되어 있는 4개 현 모두 최소 1회 우승을 거두었으며, 특히 후쿠이현 경우에는 3회 우승 전부가 기후 상업 고교만이 달성한 유일한 성과이다.

지역 지구 승리 패전 승률 우승 준우승
동일본 홋카이도 46 88 0.343 0 2
도호쿠 100 145 0.408 0 3
간토 458 399 0.534 20 22
호쿠신에츠 95 140 0.404 2 3
도카이 327 265 0.552 19 12
합계/평균 1,026 1,037 0.448 41 41

 

⑥ 킨키 지구(통산 651승 562패, 27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오사카부, 효고현, 와카야마현, 교토부, 나라현, 시가현

 센바츠 한정으로만 보았을 때, 가장 많은 우승과 준우승 횟수를 자랑하는, 단연코 센바츠의 빛나는 별들이 모여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전통의 강호들과 신흥 강호들, 즉 S급 고교들이 모여있는 오사카부는 전국 최다 승리, 최다 우승 역사를 지니고 있는 가운데 효고현, 와카야마현 순으로 전국 우승 탑3 지역이 있는 지구이다. 이와는 반대로 통산 6승만을 거둔 시가현은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시가현의 고교 야구부 수는 53개 (2024년 기준)로 전국 기준으로 보았을땐 낮은 편이라 이와 같은 결과로 보여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⑥ 주고쿠 지구(통산 210승 252패, 7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 야마구치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히로시마현이 주코쿠 지구에서 승리와 우승 횟수에서 독보적인 리드를 하는 가운데, 야마구치현과 오카야마현이 유일하게 1회씩 우승을 하였다. 하지만 인구 유출이 심한 시마네현, 돗토리현은 여전히 우승과는 거리가 먼 상태이다. 인구 유출과 고교 야구부 감소가 가장 큰 영향으로 보여진다. 

 

⑦ 시코쿠 지구(통산 297승 229패, 15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도쿠시마현, 에히메현, 카가와현, 고치현

 고시엔에서의 성적과는 다르게 시코쿠 지구에 있는 4개현의 통산 누적 승리 성적은 전국 9개 지구에서 3위에 속할정도로 놀라울 따름이다. 우승 횟수도 15회로 킨키 지구, 간토 지구, 도카이 지구에 이어 4위에 랭크되어 있다. 더욱 놀라울 것은 각 현의 순위도 15위 안에 머물러 있어 타 지구와 비교가 된다. 이는 센바츠 출전 티켓과 관련이 있다. 88년까지 시코쿠 지구에 주어지는 센바츠 출전 티켓은 3.5장으로 운이 좋다면 4개현 모두 센바츠에 출전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이후 타 지구와의 형평성을 위해 현재는 2장으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50% 찬스로 높은 진출 확률을 가지고 있다. 

 

⑧ 큐슈 지구(통산 257승 335패, 5회 우승)

 소속 도도부현: 후쿠오카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미야자키현

 총 8개의 도도부현이 4장의 센바츠 진출 티켓을 두고 경쟁을 펼치고 있다. 도쿄 · 간토 지구의 출전 티켓이 4.5장에서 6장으로 증가한 반면, 큐슈 지구는 같은 기간 0.5장밖에 증가하지 않아 그만큼 누적 승리 횟수가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의외로 승리 횟수가 가장 많은 후쿠오카현에서는 아직까지 우승이 한번도 없고, 승리 횟수가 적은 오이타현에서 우승을 한번 경험하여 큐슈 지구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지구 승리 패전 승률 우승 준우승
서일본 킨키 651 562 0.537 27 23
주고쿠 210 252 0.455 7 7
시코쿠 297 229 0.565 15 14
큐슈 257 335 0.434 5 8
합계/평균 1,415 1,378 0.498 54 52

 

2. 47개 도도부현별 통산 성적

① 우승 경험이 있는 도도부현: 30개
② 우승 경험이 없는 도도부현: 17개 

③ 최다 우승 도도부현: 오사카부 (12회) 

④ 최다 준우승 도도부현: 오사카부 (9회)

⑤ 최고 승률 도도부현 TOP5

 아이치현 (0.607) > 오사카부 (0.604) > 카나가와현 (0.600) > 고치현 (0.589) > 도쿠시마현 (0.586)

⑥ 최저 승률 도도부현 TOP5

 니가타현 (0.200) < 시마네현 (0.262) < 시가현 (0.273) < 도야마현 (0.280) < 아키타현 / 사가현 (0.333)

 

순위 도도부현 승리 패전 승률 우승 준우승
1 오사카부 215 141 0.604 12 10
2 효고현 180 152 0.542 6 6
3 아이치현 176 114 0.607 11 8
4 도쿄도 132 126 0.512 5 9
5 와카야마현 107 97 0.525 5 5
6 히로시마현 97 77 0.557 5 6
7 고치현 93 65 0.589 3 5
8 교토부 83 92 0.474 2 2
9 카나가와현 81 54 0.600 7 4
10 도쿠시마현 75 53 0.586 5 3
11 기후현 67 48 0.583 3 4
12 에히메현 66 48 0.579 4 3
13 카가와현 63 63 0.500 3 3
14 후쿠오카현 62 84 0.425 0 3
15 나라현 60 64 0.484 2 0
16 시즈오카현 56 69 0.448 4 0
17 치바현 49 41 0.544 0 3
17 사이타마현 49 34 0.590 2 2
19 홋카이도 46 88 0.343 0 2
19 오카야마현 46 56 0.451 1 0
21 토치기현 43 38 0.531 3 0
22 구마모토현 42 47 0.472 1 0
23 군마현 41 45 0.477 1 2
24 야마구치현 36 59 0.379 1 0
24 후쿠이현 36 45 0.444 1 2
26 미야기현 34 40 0.459 0 1
27 야마나시현 32 27 0.542 1 1
28 오키나와현 31 33 0.484 1 1
28 이바라키현 31 34 0.477 1 1
30 가고시마현 29 41 0.414 1 1
31 나가사키현 28 27 0.509 1 1
31 미에현 28 34 0.452 1 0
33 오이타현 26 29 0.473 1 2
34 이시카와현 25 30 0.455 0 1
35 나가노현 24 35 0.407 1 0
36 사가현 23 46 0.333 0 0
37 돗토리현 20 29 0.408 0 1
38 아오모리현 16 22 0.421 0 0
38 미야자키현 16 28 0.364 0 0
40 이와테현 15 23 0.395 0 1
41 아키타현 14 25 0.359 0 0
42 후쿠시마현 11 22 0.333 0 0
42 시마네현 11 31 0.262 0 0
44 야마가타현 10 13 0.435 0 0
45 도야마현 7 18 0.280 0 0
46 시가현 6 16 0.273 0 0
47 니가타현 3 12 0.200 0 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