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 결과: 코모노 고교 승리

학교명 1 2 3 4 5 6 7 8 9 R H E
코모노 고교 (미에현) 1 0 1 1 0 2 0 0 1 6 14 0
난요 공업 고교 (야마구치현) 0 0 0 0 0 0 1 1 0 2 9 2

 

 

2. 경기 내용

코모노 고교

- "2학년의 학교"라 불리는 코모노 고교. 고시엔 출전 주전 20명 중, 3학년이 6명밖에 되지 않는 학교다. 난요 공업 고교와의 대결에서는 모든 선발 및 교체 멤버가 2학년으로 구성된, 좀처럼 보기 힘든 구성이었다. 교체 멤버들도 대부분 2학년. 하지만 3학년 선수들은 불평이 없었다. 오히려 3학년으로 팀을 구성하여 연습 시합을 하였으며, 주장 야마구치 타쿠마(山口拓真, 3학년)는 3루 베이스 코치 역할을 맡았다. "3루 코치는 득점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이라고 덧붙이며 3학년으로서 비록 경기는 못나가지만 고시엔 첫승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날에는 16년전 고시엔 본선에서 뛰었던 선배 니시 유키(현 한신 타이거스 투수)가 경기를 관람하였다. 

 

이러한 간절함이 통한 것일까. 코모노는 거의 매회 1점씩을 득점하며 점수를 쌓아나갔다. 1회초에는 노다 신노스케(野田 親之介, 2학년)의 투수 앞 땅볼이 잡혀 병살 아웃이 될 뻔하였지만 1루수가 공을 빠트리는 실책을 범하며 그 사이에 3루 주자가 홈인하여 1점을 냈다. 3회초에는 카세 타이가(加瀬大雅, 2학년)가 안타로 출루. 다음 타자 노다 신노스케도 중전 안타를 쳤는데 악송구로 3루수가 공을 잡지 못하고 뒤로 빠트릴 때, 카세 타이가는 홈으로 전력 질주하여 1점을 뽑았다. 4회초에도 쿠리모토 켄노스케(栗本賢佑, 2학년)와 카지타니 다이야(梶谷大也, 2학년)의 연속 안타, 나카가와 렌(中川漣心, 2학년)의 땅볼로 1점을 추가 득점하며 3대0의 스코어로 첫 승리를 위한 목표에 조금씩 다가갔다. 6회초와 9회초에도 각각 2점과 1점을 추가하며 4점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마운드에서는 에이스 에이다 토와(栄田人逢, 2학년)의 활약이 눈부셨다. 9이닝을 단 2실점으로 막으며 코모노 고교의 고시엔 본선 진출 3번째만에 1승이라는 귀중한 선물을 학교에 선사했다. 경기가 끝난 후 인터뷰에서 "첫승을 거둘 수 있어서 기쁘다. 경기에 나서지 못하는 3학년 선배들을 위해 잘 던지고 싶다"며 "다음 경기에서도 잘 던질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자신의 영광을 팀원 모두에게 돌렸다. 2학년생들이 만든 기적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 주요 선수 성적 (투수)

투수명 ERA 이닝 투구수 피안타 탈삼진 자책 WHIP
에이다 토와 2.00 9 150 9 6 2 1.44

 

 

 코모노 고교

- "약한 기운이 가장 큰 적이다"라는 명언을 남긴 대선배 故 츠다 츠네미의 기운이 도달하지 않은 것일까. 14년만에 고시엔 그라운드를 밟은 난요 공업 고교 선수들은 잇다른 실책으로 내주지 않았을 점수를 내주면서 1회전 승리를 다음으로 미뤘다. 1978년 故 츠다 츠네미가 활약했을 때 2회전을 진출한 이후로 고시엔에서의 승리는 전무. 그렇기에 더더욱 승리가 간절했던 것은 코모노 고교 못지 않게 난요 공업 고교도 마찬가지였다. 

 

에이스 아베 카즈키가 홀로 분투한 경기였다. 6실점 중 자책점은 3점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수비에서 나온 2개의 실책으로 내준 3점이 너무나도 가혹했다. 야구에 만약이라는 것이 없지만 만약 3실점만 하였으면, 수비에서의 실책이 없었으면 경기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을까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 경기였다. 아베 카즈키는 9이닝을 던지는 동안 시속 140km 강속구를 기록하고 3안타를 치는 등 투타 모두 뛰어난 활약을 펼쳤음에도 팀의 패배는 자신의 탓이라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투구가 완벽하지 않았고, 상대 타자들이 자신의 공을 쉽게 간파했다"고 덧붙였다. 

 

7회초 이토 모토아키(伊藤朋晃, 2학년)와 아베 카즈키의 안타, 사에키 케이지의 볼넷으로 만든 1아웃 만루. 타석에는 미야와키 잇페이(宮脇一平, 2학년). 에이다 토와의 6번째 슬라이더가 스트라이크 존을 넓게 벗어나는 순간, 3루에 있던 주자가 홈인하였다. 더그아웃의 모든 멤버들과 알프스의 응원단은 환호에 빠졌다. 여전히 1사 만루였기에 충분히 점수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을 것이다. 하지만 후속 타자 2명의 안타성 타구가 유격수와 2루수 정면으로 향하며 더 이상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8회말에도 나가미네 오우가(長嶺凰雅, 3학년)의 2루타때 주자가 홈인하며 추가 점수를 냈지만 거기까지였다. 더 이상 기회를 살리지 못한 난요 공업 고교의 여름은 여기서 끝났다. 경기가 끝난 후 난요 공업 고교의 야마자키 야스히로 감독은 "우리는 절대 소극적이지 않았고 약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끝까지 근성을 보여준 선수들을 칭찬했다. 

투수명 ERA 이닝 투구수 피안타 탈삼진 자책 WHIP
아베 카즈키 3.00 9 127 14 3 6 1.78

 

 

3. 제 3시합 수훈 선수

에이다 토와: 두말 할 것이 에이다 토와가 아니면 누가 코모노 고교의 수훈 선수가 되겠는가. 만장일치로 에이다 토와가 아니었으면 코모노 고교의 고시엔 첫승도 없었을 것이다. 

 

※ 경기 승리 호외

 

 

1. 출전교 기본 정보 

■ 학교명: 난요 공업 고교 ( 山口県立南陽工業高等学校) 

■ 학교형태: 공립 고교

■ 출전 횟수: 14년만의 4번째

 야마구치현 대회 성적

전 히로시마 카프의 첫 신인왕이며 츠네곤, 불꽃 스토퍼라 불렸던 마무리 故 츠다 츠네미의 모교 난요 공업 고교가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에게 역전승하며 14년만에 고시엔 진출. 1978년 츠다 츠네미가 2학년이 되어 처음 고시엔에 진출했으니 이번 진출은 감회가 새로울 듯. 

타카오카 가쿠엔 고교,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 등 고시엔 진출 경험이 다수인 지역 강호들을 준결승에서 만나 최악의 대진운이었지만 아베 카즈키의 투타에서의 활약으로 승리를 가져오는데 성공. 특히 결승전에서 3대1로 뒤진 8회말, 아베 카즈키의 좌익수 키를 넘기는 2루타로 동점을 만든 것이 주요 포인트. 

 

스테이지 VS. 결과
2회전 토쿠야마 공업 전문 고교 7-4
3회전 사쿠라 가오카 고교 8-7
준준결승 사이쿄 고교 7-1
준결승 타카가와 가쿠엔 고교 4-2
결승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 4-3

 

■ 고시엔 본선 전망

난요 공업 고교의 1회전 상대는 16년만에 고시엔에 진출한 코모노 고교. 즉, 말하자면 10여년만에 고시엔 땅을 밟은 공립 고교와의 대결. 누가 이겨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 따라서 2회전 진출 가능성도 정확히 50%. 2회전에서는 카나아시 농업 고교를 만날 가능성이 높기에 2회전까진 진출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 

 

2. 주목할만한 선수

■ 투수

아베 카즈키 (阿部和希, 2학년)

- ???cm | ??kg, 우완우타, MAX 140km/h

- 결승전에서 9이닝 안타 6개, 삼진 5개, 2자책으로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 타자들을 완벽하게 막으며 고시엔 진출 티켓을 확보. 타카가와 가쿠엔 고교와의 준결승에서도 퀵후크로 1회말에 등판하여 9이닝을 1실점으로 막으며 1인 에이스로서의 가치를 증명. 평균 자책율도 2.66으로 앞으로의 활약도 더욱 기대.

 

 

3. 지역 대회 리뷰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 8회말이 시작하기 전까지는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의 4번째 고시엔 진출이 확정될 것이라 모두 믿었지만 아베 카즈키의 2타점 2루타와 미야와키 잇페이의 1타점으로 3실점하며 경기는 그대로 마무리.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의 에이스 이토 타케루도 8회까지 호투를 펼쳤지만 8회말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강판되는 수모를 겪음. 

우베 코죠 고교: 시모노세키 국제 고교와의 준결승전에서 11대0이라는 대실점을 하며 2회 연속 고시엔 진출에 실패. 에이스 마츠나이 다이치가 2회까지 5실점으로 난타당하며 그대로 무너짐. 뒤이어 올라온 코바야시 칸다도 6실점하며 승부는 6회 콜드 게임으로 마무리. 

 

[동도쿄 및 서도쿄 지역 대회 개막식]

 

 

1. 지역 대회 개요 

■ 대회 일정: 7월 7일~7월 29일 (22일) 

 결승전: 7월 28일 

총 출전고교: 127개 고교 (1개 고교 감소) 

 2023년 우승팀: 쿄에이 가쿠엔 고교

 

2. 지역 대회 전망 

 테이쿄 고교 (帝京高等学校)

 통산 고시엔 우승 2회 경험이 있는 테이쿄 고교는 13년만의 지역 대회 우승 및 고시엔 출장을 목표. 올해 진행된 도쿄부 봄 대회에서는 경쟁 우승 후보인 토카이다이 스가오 고교를 역전승을 거두며 우승하였고, 간토 대회에서도 4강까지 진출하는 등 전력이 매우 강화되었어 유력한 우승 후보로 급상승. 

나라 휴마(奈良 飛雄馬, 3학년), 니와 신고(丹羽心吾, 3학년), 니시자키 킷페이(西崎桔平, 3학년)는 테이쿄가 자랑하는 타선의 중축. 나라 휴마는 장타력이 매우 뛰어나  '자이언트 슬러거', '테이쿄의 '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 184cm, 104kg 체격에서 나오는 힘을 바탕으로 장타를 뽑아내는데 강점이고, 올해 간토 대회에서는 13타수 10안타 2홈런을 치며 5 타율을 기록. 니와 신고는 포수이면서 컨택 능력이 우수함. 올해 2대회 7경기에 출전, 홈런 2개를 포함 12안타를 기록하며 평균 타율을 4 초반까지 높이는 괄목한 성장을 이뤄냄. 작년 가을부터 주장 니시자키 킷페이는 위의 둘에 비해 장타 능력은 떨어지지만 컨택도 나쁘지 않고 선구안도 어느 정도 갖춰져 있어 끈질기게 승부하는 편이 장점. 투수로서도 출전하며 개인 최대 142km/h까지 던질 수 있어 롱 릴리프로도 언제든지 투입이 가능. 

타선에 비해 마운드는 불안 요소가 상존. 오노 히로토(小野寛人, 3학년), 무라마츠 슈신(村松秀心, 2학년) 등에게 등번호 1번을 맡기며 선발 경험을 쌓게 하였으나 난타를 당하며 아슬아슬한 경기를 계속 이어감. 따라서 한 경기를 책임질 수 있는 에이스 부재 해결이 필히 해결해야 할 선결 과제. 

 

[나라 휴마]

 

[니와 신고]

 

[니시자키 킷페이]

 

 

 간토이치 고교 (関東第一高等学校)

테이쿄 고교, 니쇼가쿠샤다이부 고교와 더불어 올해 강력한 지역 대회 우승 후보인 간토이치 고교. 작년 가을 도쿄부 대회 우승, 센바츠 출전 등을 통해 더블 에이스가 있는 견고한 투수진과 장타력을 보유한 타선을 확인하며 2019년 이후 5년만에 고시엔 출장을 목표하고 있음. 

NPB 스카우트 관계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빠른 직구 소유자 사카이 하루(坂井遼, 3학년). 빠른 직구와 슬라이더를 바탕으로 올해 개인 최고 145km/h까지 던짐. 작년 하반기부터 공식 11경기에 선발 또는 롱 릴리프로 평균 방어율 3.23을 기록. 올해부터는 에이스로 센바츠에서 공을 던졌으나 4이닝동안 4실점하며 아쉽게 1회전에서 탈락.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구속과 다양한 구종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대회 활약이 기대될 것으로 전망. 더블 에이스인 좌완 하타나카 텟신(畠中鉄心, 3학년)도 선발과 롱 릴리프로 언제든지 투입할 가능한 실력파 선수. 올해 도쿄부 봄 대회와 센바츠에서 2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방어율 1.28 기록. 

타선에서는 히다 유고(飛田優悟, 3학년)와 타카하시 텟페이(高橋徹平, 3학년)가 핵심으로 활약 중. 히다 유고는 장타율은 낮지만 좋은 선구안을 가지고 있어 출루율은 좋은 편. 그리고 빠른 발을 가지고 있어 능동적인 주루 플레이도 언제든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반대로 주장 타카하시 텟페이는 장타율과 출루율 전부 우수한 기록을 보유. 2학년일 때 평균 타율 0.377, 안타 20개 (이중 장타가 14개, 홈런 4개), 출루율 0.830을 기록, 4번 타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해내고 있음. 

 

[사카이 하루]

 

[하타나카 텟신]

 

[히다 유고]

 

[타카하시 텟페이]

 

 

니쇼가쿠샤다이부 고교 (二松學舍大学附属高等学校)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거쳐 지금은 시카고 컵스에서 뛰고 있는 투수 스즈키 세이야를 배출한 니쇼가쿠샤다이부 고교가 2년만의 고시엔 출장을 목표. 올해 도쿄부 봄 대회에서 3회전에서 탈락하여 이번 지역 대회에서 시드를 받지 못하였지만 유력한 우승 후보 전력을 갖춘 것으로 보여지고 있어 활약이 기대

니쇼가쿠샤다이부 고교의 중심에는 1학년때부터 핵심 주전으로 성장한 카타이 카이토(片井海斗, 3학년) 있음. 1학년인 2022년 고시엔 본선에서 10타수 3안타 1홈런을 기록하며 에이스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올해에도 맹타를 휘두르며 4할에 가까운 타율을 기록, 자신의 마지막 여름을 고시엔 그라운드에서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음. 

 

[카타이 카이토]

 

 

3. 결승 경기장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이자 대학 야구의 성지인 메이지 진구 스타디움에서 준결승 이후 경기 진행 예정. 참고로 서도쿄부 지역 대회도 동일하게 이곳에서 진행. 

 

+ Recent posts